August 22, 2021
이번 시간에는 Batch Normaliza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Xavier initialization이나 He initialization이 무엇인지, 어떤 원리를 통해 만들어 졌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에 우리는 이 2개의 initialization 기법이 각각의 layer에서 나오는 각각의 activation value의 distribution을 같은 개형으로, 좀 더 가우시안스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모든 레이어에서 나오는 activation value들의 distribution을 gaussian처럼 유지시키는 또 다른 아이디어에는 Batch Normalization이라는 기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이번 시간에 배울 Category입니다.
우리가 어떤 네트워크에 넣게 되는 input이 정규 분포의 형태를 가졌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입력이 레이어를 통과할 때마다 아래의 그림처럼 activation value의 distribution 흐트러지게 됩니다.
layer가 깊어질 수록 위의 그림처럼 activation value의 distribution이 점점 심하게 흐트러지게 되는데우리는 이 현상을 internal covariate shift라고 부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합니다.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하여 각 레이어의 activation value를 강제적으로 gaussian 분포로 바꿔보자는 것입니다. 즉, forward pass하는 동안 각각의 레이어로부터 나온 Batch 단위 만큼의 activation들이 가우시안 분포이길 바라는 것입니다.
Batch Normalization은 레이어 안에 있는 각각의 뉴런들을(같은 feature끼리) (mean)와 를 통해 normalization합니다. 예를 들어 batch 당 개의 학습 데이터를 갖고 있고 각각의 학습 데이터가 차원이라 할 경우, batch당 input의 크기는 가됩니다. 아래의 그림의 경우 이 50, 는 150이 되며, 레이어에 150-dimensional input이 들어가는 것 입니다. 데이터의 같은 dimension끼리 normalization을 수행하기 위해 아래의 그림처럼 같은 feature끼리 와 를 구해줍니다. 이후, 구한 와 를 통해 feature 당 normalization을 진행합니다.
150-dimensional input
Batch normalization layer는 fully-connected layer 이후나 Conv layer 이후에 바로 넣어주게 되며 activation function이 전에 넣어줍니다. 만약 conv layer를 batch normalization 시킨다면 batch normalization을 channel 단위로 수행하여 줍니다. 이에, activation map 마다 평균과 분산을 구하여 normalization 시켜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batch normalization은 단순히 normalization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은 수식을 통해 normalize된 distribution을 sclaing 하거나 shifting시킬 수 있습니다.
batch normalization을 통해 gaussian으로 normalize된 값들을 로 scaling을, 로 shifting을 할 수 있습니다. 와 는 learnable한 parameter이며 normalize된 distribution을 flexible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에 normalized 된 값을 다시 원상복구시키고 싶다면 원상복구 할 수 있게 됩니다. 를 분산으로, 를 평균으로 설정하게 된다면 말이죠~!👍 이렇게 감마와 베타를 사용하면 saturation을 얼마나 할 것인지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한다면 전에 설명했던 것 처럼, 각각의 layer를 통과한 output을 Gaussian스럽게 바꿀 수 있습니다. 강제적으로 Gaussian distribution에 근사하는 activation value들의 distribution을 얻음으로써 각각의 layer를 통과한 activation value들이 서로 비슷한 distribution을 갖게 됩니다. 물론 모든 분포가 gaussian distribution을 따를 수는 없지만 gaussian distribution에 근사하도록 normalize시키게 됩니다. 이에 internal covariate shift가 없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또한 batch normalization은 regularization의 역할 또한 수행합니다. 레이어의 출력이 해당 데이터 뿐만아니라 batch 안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 들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각각의 레이어에 있는 동일한 feature들끼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함께 normalize 되기 때문입니다.
Batch normlization은 train할 때와 evaluate할 때 다른 동작을 합니다. 먼저 train 할 때, 이루어지는 동작을 살펴보겠습니다.
train을 할 때, batch normalization은 와 를 backpropagation을 통해 학습하게 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layer안에 있는 node(feature) 하나당 하나의 와 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하나의 node(feature) 당 와 를 갖기 때문입니다.. 또한, train 과정에 있어서 normalize하는데 사용되는 와 는 batch 단위로 구해지게 됩니다.
evaluation 과정에서 사용되는 와 는 아래의 그림처럼 train 과정에 구했던 와 들의 각각의 평균 값이 사용됩니다. train 과정에서는 들어오는 batch를 기준으로 와 를 구해서 매 step마다 값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evaluation 과정에서는 train에서 구했던 와 들 각각의 평균 값을 사용하므로 고정된 값을 사용합니다.
evaluation(test) 할 때는 아래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게 됩니다.
batch normalization의 성능을 시험해 보기 위해 batchnormalization, initialization을 적용한 모델과 initialization만을 적용한 모델을 training 하여 비교해 보았습니다. 처음에 코딩을 했을 때,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사용하지 않았더니 generator가 아래와 같은 사진을 생성해 냈습니다.
< batchnorm과 initialization 적용한 model >
< initialization만 적용한 model >
batch normalization은 train할 때와, test할 때의 동작이 달라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사용하게 됩니다. model.train()
은 현재 모델이 training과정을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으로 batch normalize의 학습이 진행됩니다. batch normalization의 학습이 진행 될 때는 와 가 해당 batch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되며 와 가 학습됩니다. 하지만 model.eval()
은 모델이 현재 test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알려주기 때문에 지금까지 구했던 와 들의 평균을 사용하여 고정된 와 를 사용합니다. 또한 지금까지 학습한 와 를 사용하여 결과를 구해줍니다. 아래의 사진은 위의 두 개의 model의 discriminator loss와 generator loss 입니다.
< Discriminator Loss >
< Generator Loss >
위의 결과를 볼 수 있듯이, batch norm을 적용한 model의 generator와 discriminator loss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할 때는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반드시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필연적으로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결과는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사용해서 구현한 두 개의 model이 만든 MNIST입니다.
< batchnorm과 initialization 적용한 model >
< initialization만 적용한 model >
위의 결과를 보게 되면 두 경우에 다 결과가 잘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atchnorm을 적용한 모델은 batchnorm을 적용하지 않은 모델보다 하얀색 점들이 덜 찍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poch가 경과함에 따라 generator가 내놓은 MNIST data들을 보게되면 fake image(Generator가 만든 fake MNIST data) 좀 더 선명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epoch에 지남에 따라 generator가 만든 fake image들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또한 두 모델의 Discriminator Loss와 Generator Loss에도 차이가 존재합니다.
< Discriminator Loss >
< Generator Loss >
Discriminator는 Generator가 만든 이미지를 진짜 이미지라고 믿도록 학습되기 때문에 Discriminator Loss가 올라가야 Geneartor가 정상적으로 학습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생각하며 위의 그래프를 보게되면 batchnorm으로 구현된 모델이 더 높은 Discriminator Loss를 갖고 있으며 차후에도 더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Generator Loss를 보게 되면 batch normalization을 사용한 model이 좀더 Loss가 낮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batch normalization은 GAN generator의 performance를 높여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batch normalization을 적용한 모델이 구현된 코드는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link: Two experiements about batchnormalized model
model.train()
과 model.eval()
을 꼭!!! 사용해야한다.오늘은 batchnormalization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